건강한 음식 공부 64

보이차

보이차 ‘보이’는 명, 청 시기에 지금의 서쌍판납 및 사모 지역을 관장하던 행정소재지 명칭이다. 운남성 남부를 관할하던 이 행정 소재지에 당시의 운남산 차들이 모여들었기 때문에 보이차라는 명칭이 생겨나게 되었다. 운남성 남부 지방에서 생산된 발효차의 일종이다. 독특한 향과 색을 가지고 있으며 미생물로 발효한 후발효차 또는 흑차(黑茶)에 속한다. 보이차를 말이나 당나귀에 싣고, 티베트나 네팔, 인도에 수출한 길을 차마고도라고 한다. 모양에 따른 구분완성된 모양, 제다 방법에 따라 크게 나뉜다. 산차, 전차, 타차, 병차 산차가 대표적이다.병차, 타차, 전차는 찻잎을 몽쳐 모양을 잡은 긴압차이다. 산차는 긴압을 하지 않은 우리가 흔히 보는 잎차 형태의 차다. 긴압은 산차에 짧은 시간 수증기를 가해 잎을 부드..

<냉파요리> 오이냉국수

무더위에 땀을 빼며 지냈더니, 입맛도 잃을 지경입니다. 근래 날씨가 조금씩 선선해지기는 했지만, 아직도 뜨거운 국은 쳐다보기 싫습니다.  덕분에 여름을 지나며, 저녁찬을 준비할 때 종종 준비하곤 하는 것은 오이냉국입니다. 얼음으로 시원하게 만들어, 상큼한 오이를 말아내면 아이들도 밥 한그릇 뚝딱입니다.    오이냉국 만드는 법  재료 준비 (4인분 기준) - 오이 2개- 물 4컵- 식초 3큰술- 설탕 2큰술- 소금 1작은술- 얼음 조금- 다진 마늘 1작은술- 참기름 1작은술- 깨소금 약간 조리 방법 1. 오이 준비하기 : 오이는 깨끗이 씻은 뒤, 얇게 채 썰어준다. 채 썬 오이에 소금을 약간 뿌려 10분간 절인다. 이후 찬물에 헹구어 물기를 제거한다. 2. 국물 만들기 : 큰 볼에 물 4컵을 붓고 식초,..

<냉파요리> 훈제연어조림

반찬거리도 없는데, 식자재 가격도 너무 올라서 큰 일입니다. 고기 한 팩, 채소 한 봉다리 집어와도 만원, 이만원을 훌쩍 넘기는데, 매일 아이들 반찬해먹일 게 없어요. 어제는 둘째 체험학습 가야 해서 간식과 음료수가 준비물이라 마트가서 간식 하나씩 집어드니 만원이 훌쩍 넘어가네요. 저녁은 대패삼겹살을 조금 굽고, 김치와 기타 밑반만 놓고 국하나 먹어서 이긴 했습니다만, 오늘이 되어 다시 저녁을 차릴 생각을 하니 암담합니다.계란 반찬도 그그저께 해주었고, 그저께는 라면 두팩 끓이고 햄 약간 구워서 밥하고 먹였고, 오늘은 냉장고를 뒤져봐도 흔한 콩나물, 당근조차 없습니다.하는 수 없이 지난주에 어머님댁에 들렀을 때 가져온 꽈리고추를 꺼내들고 냉동실을 뒤적여 남아있는 고기중 유일한 물고기인 훈제연어를 꺼냈습니..

매실

매실 동아시아에서 오랫동안 재배되어 온 과일이다. 건강에 다양한 이점을 제공한다. 매실은 생과일로 먹거나 매실차, 매실주, 매실장아찌 등 다양한 형태로 가공하여 섭취할 수 있다. 꽃은 3~4월에 잎이 나기 전에 피고, 열매는 6~7월에 동그랗게 익는다. 열매를 매실이라 하고, 꽃말은 충실이다. 매실나무의 원산지는 중국의 사천성과 호북성의 산간지로 알려져 있다.  효능식용, 관상용, 약용으로 쓴다. 덜 익은 열매는 매실주 또는 생갹으로 오매라고 한다. 한방과 민간에서 곽란, 각기, 건위, 살치, 거담, 구역질, 주독, 해열, 발한, 역리 등에 약으로 쓴다. 약으로 쓸 때는 보통 매실청, 매초, 매소주, 매실말랭이 등을 만들어 사용한다. 한방에서는 구충, 건위, 발한의 약리 작용이 있다고 한다. 청매 : 6..

<냉파요리> 김치,지단,김밥

김치김밥 만들기       재료 : 신김치, 계란 7개~10개, 잡채용 소고기 한 팩, 당근 1개 이제 3일 있으면 첫째 방학이 끝납니다. 그간 덥기도 하고, 고물가 시대에 집밥 챙겨먹이는 게 쉽지 않았습니다만, 그래도 끝이 보이니 조금 손이 가는 음식들도 만들어주게 되었습니다. 지난주, 두 번이나 해 먹인 냉파요리 김치김밥입니다.김밥용 재료 셋트를 구매해서 한번 씩 싸줬던 김밥이지만, 햄이나 맛살 등 그다지 몸에 좋지도 않은 재료를 구매해와서 쓰기는 싫었습니다. 그래서 오래전부터 제가 입맛 없고 간단히 한끼 떼우고 싶을 때 만들어 먹곤 하던 김치 김밥을 말아주었습니다.(원래는 김치만 양념해서, 역시 양념 밥에 말아 먹곤 했습니다만 아이들을 그렇게 먹일 수는 없어서 소고기 한팩 사다가 밑간 후 볶아놓고,..

<냉파요리> 강된장과 호박잎쌈

며칠 전 어머님께서 텃밭에서 따오신 호박잎을 주셨습니다. 저는 이 호박잎쌈을 참 좋아하는데요, 그냥 쌈장에 먹는 것은 그다지 좋아하지 않습니다. 꼭 짭짤한 강된장을 끓여서 강된장으로 싸먹는 것을 좋아합니다.강된장 만드는 법신랑도 휴가를 받아서 집에 있고, 둘째만 어린이집 등원을 하고 첫째도 집순이를 시전중입니다. 둘째를 등원시켜준 신랑 덕에 늦잠을 잔 저는, 느즈막이 일어나 점심을 준비합니다. 먼저 밥을 앉혀두고, 강된장 재료를 손질합니다. 며칠 전 어머님댁에 다녀올 때, 똑 떨어졌던 양파도 가져와 채웠고, 호박도 가져왔지만 게으름 부리는 며칠동안 호박이 상해버렸습니다.하지만 그래도 괜찮습니다. 냉동실에 얼려놓은 호박이 있습니다.  감자 두개를 깎아서 깎둑썰기한 양파와 함께, 냄비에 넣어줍니다. 냉동실의..

초밥

초밥(스시)https://alan7.tistory.com/entry/%EC%B4%88%EB%B0%A5 초밥날씨가 무더우니 입맛도 떨어지고, 요리 의욕도 없습니다. 하지만 아이들 밥은 먹여야 하는데~, 어제는 게으름을 피우고 싶어 결국 초밥 배달을 이용했습니다.   20대 초 중반,일본 만화와 애니alan7.tistory.com 기원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생선과 곡물을 함께 삭혀 보관하는 방법이다. 농경문화, 더운 날씨와 관련이 깊어 동남아시아에서 민물고기 보존용으로 곡물을 곁들인 것이 시초라고 추정된다. 스시는 중국 남부에서 일본에 전해진 것으로 여겨지나, 오늘날의 스시와는 다르다. 오늘날 스시라고 하는 것은 에도시대 중기에 그 전형이 완성되었다. 비와호 주변의 오오미 지방에서는 붕아를 밥에 절이는 방..

참나물

참나물 참나물은 우리나라 각처 산지의 나무 아래서 나는 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습기가 많고 반그늘이며 부엽질이 풍부한 곳의 나무 밑에서 자란다. 키는 50~80cm이고, 잎은 뿌리에서 나온 것은 길고 줄기에서 나온 것은 줄기를 따라 위로 올라가면서 짧아지며 잎은 3장씩 달린다. 줄기는 밑으로부터 잔가지를 쳐 뭉쳐 있으며 전체에 털이 없다. 꽃은 흰색으로 원줄기 끝에서 다시 부채꼴 모양으로 퍼지며 작은 꽃가지가 10개 정도가 달리고 이곳에 각각 13송이 정도가 달린다. 꽃받침은 뚜렷하며 꽃잎과 수술은 각 5개이다. 열매는 9~10월경에 편평한 타원형으로 달린다. Well-being문화가 일반화되면서 식당에 가면 ‘참나물’이 많이 나온다. 하지만 이 참나물은 일본에서 육종되어 들여온 ‘삼엽채’라고 하는..

<냉파요리> 비빔국수

어마무시한 무더위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아직 여름 휴가를 가지 못 했는데, 이번주에 등원을 시작한 둘째와 달리 첫째는 집밥과 돌밥의 연장선상 그 어딘가에 계속 있는 중입니다.물가도 비싸고, 에어컨을 끼고 살아도 뜨거운 불 앞에는 서기 싫고. ;;; 하지만 그래도 아이들 밥은 먹여야 하니 대부분 간단간단하게 음식을 만들고 있습니다.그 중 간단하고 가볍게 한끼 때우고 싶을때 자주 이용중인 비빔국수입니다. 초등생들 마라맛이 유행이라고 하더니, 첫째도 마라타령을 종종 하는데요. 덕분에 매운 음식을 꽤 잘 먹게 되어서, 김치찌개, 떡볶이, 김치볶음밥, 비빔국수를 식단에 추가할 수 있어 한결 편해진 요즘입니다. 아직 매운맛에 서툰 둘째의 경우 물에 헹궈주거나, 간장을 베이스로 따로 매운맛 살짝만 얹어주면 되어서 좋..

불면증

불면증과 수면장애는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건강 문제이다. 각각의 유형과 원인, 증상 치료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불면증충분한 수면을 취할 수 있는 기회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잠들기 어렵거나 잠을 유지하기 어렵거나 너무 일찍 깨는 등의 수면 장애를 말한다.원인스트레스와 불안 : 일상 생활의 스트레스, 직장 문제, 가정 문제 등으로 인해 불면증이 발생할 수 있다.건강 문제 : 만성 통증, 천식, 우울증, 위식도 역류 질환 등.생활 습관 : 불규칙한 수면 일정, 과도한 카페인이나 알코올 섭취, 운동 부족약물 : 특정 약물의 부작용 증상잠들기 어려움밤중에 자주 깨거나 깨고 나서 다시 잠들기 어려움너무 일찍 깸피로, 집중력 저하, 기억력 문제기분 변화(우울, 불안 등) 치료생활 습관 개선 : 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