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음식 공부 64

장어, 무더위 보양식

무더위와 보양식, 그리고 장어의 효능에 대해 여름이 되면 무더위로 인해 체력이 쉽게 소진되기 마련입니다. 이러한 시기에 우리 몸을 보호하고 활력을 되찾기 위해 보양식의 중요성이 강조됩니다. 특히 한국에서는 여름철 보양식으로 장어가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무더위와 보양식, 그리고 장어의 효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무더위와 건강 관리 여름철 무더위는 체온 조절을 어렵게 하며, 과도한 땀 배출로 인해 체내 수분과 전해질이 쉽게 부족해질 수 있습니다. 이는 탈수, 열사병, 피로, 그리고 면역력 저하 등 다양한 건강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수분 섭취와 함께, 체력 보강을 위한 영양 섭취가 필수적입니다. 보양식의 중요성 보양식은 몸을 보호하고 양생하는..

메도우스위트

메도우스위트 장미과, 신부풀, 풀밭의 여왕, 풀의 여왕, 풀밭의 잡초라고도 한다. 메도우스위트는 시내, 강가, 습한 목초지, 늪, 슾지대에서 많이 자라는 것을 볼 수 있으며 해발 1,000m의 습한 산림에서도 자란다. 유럽과 아시아 원산으로 북미에서는 성공적으로 도입되어 귀화되었다. 이 식물은 다른 여러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초서(영국의 시인)의 기사의 이야(The Knight’s Tale)에서는 이 식물을 ‘meadwort’로 부르며 ‘save’라고 부르는 음료의 성분으로 나와 있다. 또한 신부풀 ‘bridewort’로 불리는 데, 이는 잔치나 결혼식에서 교회에 뿌려지고 신부의 화관을 만드는 데 쓰였기 때문이다. 유럽에서는 습한 목초지를 낮게 깔려 점령하는 모습에서 ‘목초의 여왕’로 불렸다. 혼란스럽..

<냉파 요리> 어묵국수, 오므라이스

냉파 요리> 물가가 너무 비싸서, 마트에도 잘 가지 못한 상태에서 아이 방학이 되었습니다. 작년엔 회사에 다녀서, 큰아이를 돌봄 교실에 보내 도시락을 먹게 했는데, 올해는 ‘집밥’이 먹고 싶다는 아이 말에 그 편한 도시락도 포기했습니다. 게다가 어린이집에 다니는 둘째까지 방학....;;; (천만다행으로 어린이집의 방학은 일주일, 다음주부터는 다시 등원합니다. ㅋ) 점심으로 어묵국수, 저녁으로 오므라이스를 만들어봤습니다. -어묵국수- 어묵탕 재료는 마트에 한번씩 갈때 유통기한 임박상품으로 나와있는 알뜰상품을 두 세봉 집어와 냉동실에 얼려놓는 편입니다. 얼려두면 한달은 충분히 먹을 수 있고, 가끔 야식이나 '아무것도 하기 싫을 때' 꺼내서 끓이기만 해도 국으로는 대용 가능하니까 편합니다.오늘도 냉동실에 얼려..

결명자

결명자 아시아 전통 의학에서 오랫동안 사용되어 온 약초이다. 그 역사는 고대 중국에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고대 중국 : 결명자의 사용은 최소하 기원전 200년, 한나라 시대에 이르러 기록으로 남아있다. 고대 중국의 유명한 의학 서적인 신농본초경에 처음 등장하며, 이 책에서는 결명자를 명안초로 부르며 눈을 밝게 하고 시력을 개선하는 데 효과적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이후 여러 본초학 서적에 등장해 그 효능과 사용법이 세세하게 기술되어 있다.-중세 중국 : 중세 시대를 거치면서 결명자는 더 널리 사용되었다. 다양한 약방문과 의서에 등장한다. 특히 명대와 청대를 거치면서 결명자에 대한 연구가 확장되어 눈의 질환뿐만 아니라 간 기능 개선, 혈압 조절 등 다른 효능에 대해서도 연구가 이루어졌다.-한국과 일..

도토리묵

도토리묵 기원은 삼국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도토리는 당시 식량이 부족한 시기에 중요한 대체 식품으로 사용되었다. 고려시대에는 도토리묵이 농촌 지역에서 흔히 소비되었다. 가난한 시절을 견디기 위한 주요 식량 중 하나였다. 조선시대에 들어서면서 도토리묵은 궁중 음식으로도 사용되었다. 특히, 도토리의 전분을 이용한 묵은 궁중 연회와 잔치에서 자주 등장했다.현대에 들어서는 한국 전역에서 도토리묵이 대중화되었다. 다양한 요리법이 개발되었으며, 건강식으로 인식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즐겨 먹는 음식이 되었다.도토리묵은 한국의 전통 음식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아 여러 전통 음식 축제와 행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효능 -소화 개선 : 도토리묵은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소화를 돕고 변비를 예방한다.-항산화 작용 : 도..

가지 볶음

가지볶음 만들기  재료: 가지 5개, 마늘 반스푼, 식용류 1큰술, 참치액 1/2큰술, 양조간장2큰술, 고춧가루1큰술, 양파, 대파, 소금, 참기름 1큰술. 가지를 깨끗이 씻어, 반으로 잘라 어슷 썰기합니다. 물에 5분 정도 담가 두면 가지의 떫은 맛이 제거됩니다. 식용유와 마늘, 고춧가루를 넣고 예열된 팬에 살짝 볶아줍니다. 마늘 향이 올라올 쯤, 가지를 넣고 간장과 참치액등을 넣고 잘 볶아줍니다.가지가 거의 다 익으면 양파와 대파를 넣고 함께 볶아줍니다. 양파가 투명해질 때까지 볶아줍니다.가지와 양파가 모두 익으면 참기름을 둘러 고소한 향을 더해줍니다. 싱거울 경우 소금으로 간을 맞추고, 후추와 깨소금을 뿌려줍니다.  맵지 않은 가지볶음을 할 경우, 고춧가루를 빼시면 됩니다. 단맛을 더하고 싶다면 약..

복숭아

복숭아장미과 벚나무 속에 속하는 복사나무의 열매이다. 원산지는 중국 화북의 산시성과 간쑤 성이다.. 복사나무는 복숭아나무라고도 부른다. 갈잎 작은 키 나무다. 한국에서 사과나무, 감나무, 귤나무, 포도나무에 이어 많이 기르는 나무이다.  알레르기복숭아는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음식으로 유명하다. 복숭아 털의 알레르기와 복숭아 자체의 알레르기로 구분된다. 복숭아를 먹으면 구토나 어지러움을 일으킨다. 또 복숭아나 자두의 껍데기에 닿으면 입술이 붓거나 따가움, 가려움 등의 증상이 일어난다. 만약 알레르기가 일어났다면 가까운 병원으로 가 진찰을 받고 증상이 약할 시 집에서 휴식을 취한다.  복숭아는 중국에서 기원하여 약 2,000년 전부터 재배되었다. 이후 실크로드를 통해 페르시아로 전파되었고, 유럽과 아시아 전역..

차이브

차이브, 산파 차이브는 유럽, 호주, 북미의 야생에서 볼 수 있는 유일한 파로 온난한 지역에서 더운 지역에 걸쳐 분포한다. 가장 오래된 허브 중에 하나이지만 유럽의 정원에서는 16세기까지 재배하지 않았다. 중국에서는 BC 3,000 년전부터 차이브를 재배하여 왔다. 차이브의 맛있고 순한 파의 향을 즐겼으며 해독, 지혈효과를 이용하였다. 탐험가 마르코 폴로에 의해서 차이브의 요리용으로서의 장점이 서양으로 전해졌다. 중세에는 ‘덤블 파’로 알려졌는 데, 그리스어의 schoinos는 무성한 덤블을 parson은 파leek를 의미한다. 양파과에 속하는 다년생 허브이다. 중앙아시아와 지중해 지역이 원산지이다. 고대 로마와 그리스에서 약용과 요리용으로 사용되었다. 중세 유럽에서도 널리 재배되었다. 효능 -항균 작용..

삼복더위, 여름철 보양음식

여름 보양 음식 -삼계탕, 한국의 전통 보양 음식이다. 영양가가 높고 여름철 건강을 지키기 위해 많이 먹는다. 이 요리는 삼복더위에 맞서기 위해 먹는 음식으로 닭고기, 인삼, 대추, 찹쌀 등을 넣어 끓인다. 삼계탕의 기원은 조선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에는 ‘계삼탕’으로 불리며 닭과 인삼을 이용한 건강식으로 인식되었다. 조선 후기부터 여름철 삼복(삼복더위) 기간 체력을 보강하기 위해 먹는 음식으로 자리 잡았다. 현대에 와서 삼계탕은 전국적으로 인기를 끌며, 다양한 재료와 조리법으로 발전했다. 삼계탕에 들어가는 닭고기, 인삼, 대추 찹쌀 등은 모두 면역력 강화, 피로 해소, 체력 증진에 도움을 준다. 특히 인삼은 원기 회복과 피로 해소에 탁월한 효능이 있다.  -장어구이, 장어는 고대 중국에서 이미 ..

메밀

메밀 중앙아시아와 티베트고원에서 기원한 식물로, 약 6,000년 전부터 재배되었다. 야생 메밀은 이 지역에서 발견되었고, 인류가 이를 재배하기 시작하면서 그 역사가 시작되었다. -고대 중국 : 기원전 2,000년경부터 메밀이 재배되었다. 중국 문헌에 따르면, 메밀은 춘추전국시대부터 주요 식량 작물로 자리 잡았다. 메밀은 중국의 다양한 지역에서 중요한 농작물로 여겨졌으며, 특히 기후가 서늘한 지역에서 많이 재배되었다. -한국과 일본 : 중국을 통해 한국과 일본으로 전해졌다. 한국에는 삼국시대부터 메밀이 재배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일본에는 나라 시대부터 재배되었다. 두 나라 모두 메밀을 이용한 다양한 요리가 발달했다. -유럽 : 14세기경 몽골 제국의 확장을 통해 유럽에 전해졌다. 특히 독일, 폴란드, 프랑..